#2023년 11월부터 평범한미디어에 연재되고 있는 [이내훈의 아웃사이더] 25번째 기사입니다. 이내훈씨는 프리랜서 만화가이자 정치인입니다. 주로 비양당 제3지대 정당에서 정치 경험을 쌓았고 현재는 민생당 소속으로 최고위원과 수석대변인을 맡고 있습니다. 이내훈의 아웃사이더는 텍스트 칼럼과 전화 인터뷰 기사로 진행됩니다. [평범한미디어 이내훈 칼럼니스트] 지역구 선거운동의 기억을 떠올려보면 대부분은 고령층 유권자 위주였던 것 같다. 이유가 있다. 젊은 사람들은 평일에 시내 중심가에서 찾기 힘들다. 회사에 있거나 학교에 있기 때문이다. 반면 고령층 유권자는 보통 자영업을 하는 경우가 많았고 선거운동 기간 동안 여러 차례 인사하고 얼굴을 익히는 일이 가능했다. 주말에도 젊은 사람들은 집에서 쉬거나 외출하더라도 번화가로 흩어지지만 고령층은 배드민턴장, 산책길, 모임 등 동네에 머무르는 비중이 높고 주변과 유대관계가 있어서 선거운동이 수월했다. 젊은 사람들은 동네 이웃들과 모르고 지내는 경우가 태반이다. 섣불리 일반화를 할 순 없겠지만 내가 겪은 바로는 결국 지역구 선거운동은 고령층 유권자들에게 포커스를 맞출 수밖에 없다. 그래서 한국 민주주의는 사실 실버 민주주의라
[평범한미디어 전영임 기자] 14일 기준 코로나 백신 1차 접종률이 81.7%, 완전 접종률은 78.1%를 기록했다. 높은 백신 접종율에도 불구하고 위중증 환자가 증가하고 있다. 10월 위중증 환자 주간 평균 300명대에서 11월 둘째주 주간 일평균(11.8~11.14) 458명으로 증가했다. 13일 하루 사망자 수는 7월 4차 대유행 이후 최대인 32명이었다. 전체 위중증 환자 중 82%는 60대 이상 고령층이다. 지난 11일 강동구 중앙보훈병원에서 환자 1명이 확진된 뒤 58명의 추가 확진자가 발생했다. 14일 정오 기준 총 확진자는 97명이다. 광주광역시의 한 요양병원에서도 환자, 병원 직원, 가족을 포함하여 58명의 확진자가 나왔다. 추가 검사 과정에서 확진자가 더 나올 가능성이 있어 우려되는 상황이다. 전국적으로 요양병원·시설 등 감염취약시설을 중심으로 집단 발생과 확진자가 증가하고 있다. 해당 시설 입원 및 입소자는 감염시 중증 또는 사망 위험이 높은 고위험군들이다. 위드코로나(단계적 일상회복)가 시작된 11월, 또 다시 답답한 일상으로 돌아갈 순 없다. 위중증 환자의 증가 뿐만 아니라 신규 확진자도 14일 기준 닷새째 2000명대를 넘어서고 있지